본문 바로가기

개발자 노트/개발자가 궁금해요7

✅ 전국 개발자 일자리 현황 요약 🔹 전체 시장 흐름수도권 중심 채용 활발웹, 앱, 백엔드, 데이터, AI, 게임 등 전 분야 수요 존재원격 근무 가능 기업 증가 중🔹 언어별 수요 요약✔ Java공공기관, 금융권, 대기업 SI안정성과 유지보수에 강점✔ PythonAI, 데이터 분석, 자동화스타트업·연구소·IT서비스 기업 중심✔ JavaScript (React/Vue)프론트엔드 중심 폭발적 수요웹서비스 개발 전반에 사용✔ C#윈도우 기반 응용 프로그램 개발제조업 MES, 의료 시스템, 게임(Unity)지방 제조기업 및 일부 대기업에서 지속 수요🔹 지역별 채용 동향✔ 서울·경기스타트업, 플랫폼 기업, 대기업 본사모든 직무 고르게 채용✔ 지방 (대전, 울산, 부산 등)C# 기반 응용프로그램, 자동화 시스템 중심일부 지역 인력 부족 → 원.. 2025. 4. 24.
✅ C# vs Java vs Python – 어떤 언어를 배워야 할까? 🔸 세 언어 모두 ‘현업에서 많이 쓰이는 언어’다프로그래밍 언어는 수백 가지가 있다.하지만 그중에서도 C#, Java, Python은실제로 기업 현장에서 자주 쓰이고,개발자 채용 시장에서도 꾸준히 수요가 있는 언어다.그래서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묻는다.“뭘 먼저 배우는 게 좋을까요?”정답은 없다.내가 어떤 분야에서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에 따라적합한 언어가 달라진다.하지만 각 언어의 특징과 잘 쓰이는 분야를 알면현명하게 선택할 수 있다.🔸 C# – 윈도우 프로그램과 게임에 강하다C#은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언어다.윈도우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어서기업 내부에서 사용하는 사내 시스템 개발에 많이 쓰인다.특히 Visual Studio라는 개발 도구 덕분에개발 속도와 유지보수 면에서 효율이 뛰어나다.또 하나,.. 2025. 4. 24.
✅ 학원 출신 vs 학교 출신 개발자 – 진짜 차이 있을까? 🔸 둘 다 개발자다. 단, 출발선이 다를 수 있다개발자를 꿈꾸는 사람은 많지만,그 시작은 모두 같지 않다.한쪽은 4년제 컴퓨터공학과에서 정석대로 공부하고,다른 한쪽은 개발 학원이나 부트캠프에서 단기간 집중 코스로 진입한다.둘 다 결국엔 '개발자'라는 같은 목표지점을 향하지만출발선과 접근 방식이 다를 수밖에 없다.그래서 때때로 '학원 출신 vs. 학교 출신'으로 비교되기도 한다.🔸 학교 출신 개발자 – 이론과 기초가 튼튼하다컴공 전공자는자료구조, 알고리즘, 운영체제, 컴퓨터구조, 데이터베이스 등기초 이론을 탄탄하게 다진 상태에서 실무로 진입한다.이는 개발을 깊게 파고들수록알게 모르게 실력 차이로 이어질 수 있다.예를 들어, 효율적인 코드나 구조 설계를 할 때기초 개념이 뒷받침되어야 빠르고 정확한 판단이.. 2025. 4. 23.
✅ 개발자 회의에서 날아오는 줄임말 정리.zip (TMI 주의) 🔸 회의 들어갔더니, 못 알아듣겠다?개발자 회의나 슬랙 채널에 가보면처음 듣는 줄임말이 쏟아지는 경우가 많다."CI/CD는 세팅됐나요?""이슈는 MR 날리시면 리뷰드릴게요.""이번 스프린트는 WIP 줄이자고요."전문 용어라기보다는그들만의 커뮤니케이션 언어처럼 느껴지는 말들.사실 알고 보면 별거 아니지만,초반에 한 번 정리해두지 않으면 계속 헷갈리게 된다.🔸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줄임말들용어 뜻 설명CIContinuous Integration지속적인 코드 통합 프로세스. 개발 중간마다 자동으로 코드 합치는 방식.CDContinuous Deployment자동 배포 프로세스. 테스트 통과 시 배포까지 자동으로 진행.MRMerge Request깃(Git)에서 코드 병합 요청. GitHub에선 PR(Pull .. 2025. 4. 23.
✅ SI 개발자 vs 인하우스 개발자 – 연봉, 복지, 커리어 전부 비교! 🔸 SI 개발자는 외주 프로젝트 중심이다SI(System Integration) 개발자는고객사에서 요청한 시스템을 외주 형식으로 개발하는 역할을 한다.예를 들어, 한 공공기관이 '민원 처리 시스템'을 만들고 싶다고 하자.이때 직접 만들지 않고 외부 개발 업체에 맡긴다.그 업체에 소속된 개발자가 바로 SI 개발자다.일정 기간 동안 프로젝트를 수행하고,계약이 끝나면 또 다른 고객사의 프로젝트를 맡는다. 즉, 고객사도 계속 바뀌고, 업무 내용도 자주 달라진다.다양한 산업군과 기술 스택을 빠르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이기도 하다.하지만 동시에 업무 강도나 일정 압박이 클 수 있다.특히 관공서 프로젝트나 납기 일정이 정해진 경우야근이나 주말 출근도 종종 발생한다.🔸 인하우스 개발자는 자사 시스템을 개발·운영한다인.. 2025. 4. 23.
✅ 프론트엔드 vs 백엔드 vs 풀스택 – 뭐가 다를까? 🔸 프론트엔드는 눈에 보이는 화면을 만든다프론트엔드(Front-End)는 사용자가 실제로 마주하는 부분을 만든다.웹사이트나 앱을 켰을 때 보이는 버튼, 메뉴, 화면 구성, 애니메이션 등이 모두 여기에 포함된다.예를 들어 로그인 화면이 있다고 하자.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칸, 로그인 버튼,회원가입 링크와 같이 직접적으로 클릭하거나 보는 요소는모두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손을 거친다. 이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는 HTML, CSS, JavaScript이며React, Vue 같은 프레임워크도 흔히 쓰인다.사용자에게 편안한 경험(UX)을 제공하려면디자인 감각과 기능 구현 능력을 동시에 갖춰야 한다.🔸 백엔드는 보이지 않는 기능과 데이터를 처리한다백엔드(Back-End)는 시스템의 내부 로직, .. 2025. 4. 22.
✅ SI? SM? SE? 헷갈린다면 이 글 하나로 끝! 🔸 SI는 외주 프로젝트 개발 방식이다SI는 System Integration, 즉 '시스템 통합'을 뜻한다.하지만 업계에서는 대부분 **'외주 개발 프로젝트'**로 인식된다.예를 들어 정부기관이나 대기업이 내부 업무용 시스템을 만들고 싶다고 해보자.자체 개발 인력이 부족하거나 개발 역량이 없다면,전문 개발 회사를 불러서 '대신 만들어 달라'고 요청한다. 이처럼 외부 요청에 맞춰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해주는 일이 바로 SI다.프로젝트 단위로 움직이며, 보통은 계약 기간이 정해져 있다.계약이 끝나면 다른 회사의 다른 프로젝트로 옮겨가게 된다. 장점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짧은 시간에 여러 산업, 여러 언어, 여러 도메인을 겪게 된다.하지만 그만큼 업무 강도도 높고, 일정도 촉박한 경우가 많다... 2025.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