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자 노트/개발자가 궁금해요

✅ SI? SM? SE? 헷갈린다면 이 글 하나로 끝!

by wawManager 2025. 4. 22.

 

🔸 SI는 외주 프로젝트 개발 방식이다

SI는 System Integration, 즉 '시스템 통합'을 뜻한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대부분 **'외주 개발 프로젝트'**로 인식된다.

예를 들어 정부기관이나 대기업이 내부 업무용 시스템을 만들고 싶다고 해보자.
자체 개발 인력이 부족하거나 개발 역량이 없다면,
전문 개발 회사를 불러서 '대신 만들어 달라'고 요청한다.

 

이처럼 외부 요청에 맞춰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해주는 일이 바로 SI다.
프로젝트 단위로 움직이며, 보통은 계약 기간이 정해져 있다.
계약이 끝나면 다른 회사의 다른 프로젝트로 옮겨가게 된다.

 

장점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
짧은 시간에 여러 산업, 여러 언어, 여러 도메인을 겪게 된다.
하지만 그만큼 업무 강도도 높고, 일정도 촉박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업계에서는 “SI는 몸으로 버틴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야근과 주말 출근도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I 출신 개발자는 현장 경험이 풍부해 취업 시장에서 선호되기도 한다.


🔸 SM은 시스템 유지보수와 운영이다

SM은 System Management, 즉 시스템 관리다.
쉽게 말해, 이미 만들어진 시스템이 문제 없이 돌아가게 돕는 일이다.

예를 들어, 병원의 예약 시스템이 있다고 하자.
환자가 로그인하면 오류가 생기고, 약 처방 모듈에서 에러가 난다.
이럴 때 대응해서 고치고, 정기적으로 서버 점검도 해주는 역할이 바로 SM이다.

SI가 '만드는 일'이라면, SM은 '잘 돌게 하는 일'이다.


신규 개발보다는 유지보수 성격이 강하고,
장기적으로 한 회사에 상주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근무지가 고정되고, 업무도 루틴한 경우가 많다.
워라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 가족과 시간을 보내고 싶은 사람에게는
SM이 안정적인 선택이 되기도 한다.

 

반면, 개발 성장을 추구하는 입장에서는 기술 스택이 정체될 수 있다는 아쉬움이 있다.
그래서 일부 개발자들은 SM을 '개발자 무덤'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성장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 SE는 설계 중심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다

SE는 System Engineer 또는 Software Engineer를 뜻한다.
회사나 산업군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다르다.

다만 일반적으로는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시스템을 어떻게 만들지 설계하는 사람’이다.

예를 들어 어떤 앱을 만든다고 해보자.
클라이언트가 "로그인 기능이 필요해요"라고 하면,
그걸 듣고 로그인 흐름, 암호화 방식, 데이터 처리 구조를 고민하는 사람이 SE다.

 

단순히 코드만 짜는 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구조를 설계하고 방향을 잡는 역할이기 때문에
실제 개발자들보다 위쪽 단계에 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래서 SE는 보통 경력 5년 이상,
실무를 충분히 경험한 뒤에 올라가는 경우가 많다.

 

문서를 작성하는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그리고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는 감각이 중요하다.

현업에서는 ‘기획자와 개발자 사이를 연결해주는 브리지 역할’이라고도 한다.


✍️ 정리하며

구분 의미 주요 역할 특징

SI 외주 개발 신규 시스템 개발 다양한 프로젝트, 일정 압박
SM 시스템 유지보수 문제 대응 및 운영 근무지 고정, 워라밸 좋음
SE 시스템 설계자 요구 분석, 설계 경력직 중심, 구조 설계 가능

🏷️ 관련 해시태그

#개발자상식 #SI란 #SM업무 #SE직무 #개발자용어정리
#IT커리어 #시스템개발 #시스템운영 #엔지니어역할 #개발자정보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