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용한 정보
회사에서 말한다.
“저희는 워라밸 보장합니다.”
“야근은 거의 없어요.”
근데 알고 보면 이 말이 붙는다.
“단, 장애 발생 시 빠른 대응은 필요해요.”
그게 바로 온콜이다.
업무시간엔 안 잡아두지만,
퇴근하고도 마음을 놔두질 않는 것.
🔹 1. 몸은 퇴근했는데, 알림은 퇴근 안 함
✔ 카카오워크 울림
✔ 슬랙 에러 채널 알림
✔ 서버 CPU 95% 경고
✔ 고객센터 “접속 안 돼요”
시간은 오후 10시 42분
내일 출근 전에 잡지 않으면
누군가는 팀장한테 불려간다.
🔹 2. 주말에 병원에서도 노트북 킨다
온콜 담당 순번 돌아왔다.
토요일 오전, 친구 결혼식 있는 날.
그런데 알람 뜸.
✔ DB 커넥션 에러
✔ 배포한 코드에서 500
✔ 프론트 로딩 무한루프
"5분만 볼게요" 하고 노트북 켰다가
1시간 뒤, 집에도 못 감.
🔹 3. 급한 대응인데 책임은 네가 져
"긴급 장애는 빠르게 조치해주세요"
"빠른 대응 정말 감사해요"
근데 복구하고 나면 이렇게 묻는다.
✔ “왜 이런 일이 발생한 거죠?”
✔ “어떻게 예방할 수 있었을까요?”
✔ “당신이 올린 코드 맞죠?”
밤에 내가 잠 줄여가며 막았는데,
아침엔 내 실수로 몰고 가는 구조.
🔹 4. 온콜은 보상 없이 의무가 되는 순간 지옥이다
✔ 별도 수당 없음
✔ 대체 휴무 없음
✔ 격려나 인센티브 없음
✔ 심지어 휴가 중에도 온콜 돌아옴
“그 정도는 개발자가 감수해야죠.”
그 말, 당해보면 온몸으로 싫어진다.
온콜도 결국 ‘노동’이다.
근데 회사는 ‘책임감’으로 포장한다.
✍️ 마무리하며
야근이 없는 게 아니라,
야근보다 더 은근한 ‘무제한 대기’를 강요받는 시대다.
✔ 온콜 있으면 수당 줘야 하고
✔ 일정 외 장애 대응은 별도로 관리해야 한다
✔ 개발자도 쉴 때는 쉴 수 있어야 한다
슬랙 알림 한 줄이
한 사람의 멘탈을 무너뜨릴 수 있다.
🏷️ 관련 해시태그
#온콜지옥 #야근보다힘든온콜 #개발자일상
#슬랙PTSD #개발문화비판 #알림트라우마
#프로그래머고충 #서버담당악몽 #온콜수당좀줘라 #워라밸은구라다
'📁 [4] 개발자 정보 & 코드 노트 > 팩폭하겠습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어차피 결정은 위에서 한다. 말해봤자 소용없다 (0) | 2025.04.30 |
---|---|
✅ 프로젝트 망하면 기획은 없고 개발만 욕먹는다 (0) | 2025.04.30 |
✅ 리팩토링 하자더니 기능부터 넣자고 한다 (0) | 2025.04.30 |
✅ 어차피 신기술 써도 유지보수는 못 피한다 (1) | 2025.04.29 |
✅ 회사 다니면서 사이드프로젝트 한다는 사람 믿지 마라 (1) | 2025.04.29 |
🔎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