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Ubuntu)는 리눅스 배포판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운영체제로,
초보자도 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우분투를 설치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다.
✅ 1. 우분투 설치를 위한 준비물
🔹 우분투 ISO 파일 다운로드 (공식 사이트)
🔹 8GB 이상의 USB (부팅 디스크 만들기 용도)
🔹 Rufus 또는 Balena Etcher (부팅 USB 만들기 프로그램)
🔹 설치할 PC (기존 윈도우와 듀얼 부팅 가능)
📌 우분투는 무료로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다.
✅ 2. 우분투 설치 USB 만들기
🔹 1) Rufus로 부팅 USB 만들기
1️⃣ Rufus 공식 사이트에서 프로그램 다운로드
2️⃣ USB를 PC에 연결 후 Rufus 실행
3️⃣ 디스크 선택 → 다운로드한 우분투 ISO 파일 선택
4️⃣ 부팅 방식 → GPT (UEFI 지원) 또는 MBR (구형 BIOS 지원) 선택
5️⃣ 파일 시스템 → FAT32 유지
6️⃣ "시작" 클릭하여 부팅 USB 생성
📌 Windows 사용자는 Rufus, macOS 사용자는 Balena Etcher를 추천!
✅ 3. BIOS 설정 (USB 부팅 우선순위 변경)
🔹 1) BIOS(UEFI) 진입하기
1️⃣ PC를 재부팅 후 BIOS 키(F2, F10, Del 등) 연타
2️⃣ Boot(부팅) 메뉴 이동 → USB 부팅 우선순위 설정
3️⃣ 저장 후 재부팅하면 우분투 설치 화면으로 진입
📌 제조사별 BIOS 키
- Dell: F2
- HP: F10
- Lenovo: F1 또는 F2
- ASUS: F2
- Gigabyte / MSI: Del
✅ 4. 우분투 설치 과정
🔹 1) 우분투 설치 시작
1️⃣ 부팅 USB로 부팅하면 "우분투 체험하기 or 설치하기" 화면이 나타남
2️⃣ "Ubuntu 설치" 선택
🔹 2) 키보드 & 언어 설정
1️⃣ "한국어" 또는 원하는 언어 선택 후 "계속" 클릭
2️⃣ 키보드 레이아웃 선택 (기본값: "한국어")
🔹 3) 설치 유형 선택
1️⃣ "일반 설치" 선택 (웹 브라우저, 미디어 플레이어 포함)
2️⃣ "업데이트 및 타사 소프트웨어 설치" 체크 (권장)
📌 설치 옵션
- 디스크 지우고 우분투 설치 → 기존 OS 삭제 후 우분투만 설치
- 윈도우와 함께 설치 (듀얼 부팅) → 윈도우와 우분투를 함께 사용
- 기타 옵션 → 파티션 직접 설정
🔹 4) 디스크 파티션 설정
✅ 윈도우와 함께 설치(듀얼 부팅) 시
- "윈도우와 함께 설치" 선택 후 "계속" 클릭
- 남은 디스크 공간을 우분투에 할당
✅ 우분투 단독 설치 시
- "디스크 지우고 설치" 선택 후 "계속" 클릭
📌 수동 파티션 설정 (고급 사용자용)
- / (루트) → 최소 20GB
- /home → 개인 파일 저장 공간
- swap (스왑 메모리) → 4GB 이상 (RAM 부족할 경우 설정)
🔹 5) 위치 설정 (시간대 선택)
- 대한민국 → "서울" 선택 후 "계속"
🔹 6) 사용자 계정 설정
1️⃣ 이름 & 컴퓨터 이름 입력
2️⃣ 사용자 이름 & 비밀번호 설정
3️⃣ "자동 로그인" or "부팅 시 비밀번호 입력" 선택
🔹 7) 우분투 설치 진행
✅ 파일 복사 & 시스템 설정 자동 진행 (10~20분 소요)
✅ 설치 완료 후 "지금 다시 시작" 클릭
📌 재부팅 후 USB 제거 & 우분투 첫 부팅 화면 확인!
✅ 5. 우분투 설치 후 기본 설정
🔹 1) 업데이트 & 드라이버 설치
✅ 설정 → 소프트웨어 및 업데이트 → 업데이트 확인
✅ NVIDIA / AMD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 (권장)
🔹 2) 기본 필수 프로그램 설치
✅ 터미널(Ctrl + Alt + T) 실행 후 업데이트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y
✅ 필수 프로그램 설치
sudo apt install vim git curl wget gnome-tweaks
✅ 한글 입력기 설치 (fcitx-hangul)
sudo apt install fcitx-hangul
📌 설정 → 지역 및 언어 → 입력기(Fcitx)로 변경 후 재부팅
✅ 6. 윈도우 & 우분투 듀얼 부팅 설정 (선택 사항)
🔹 부팅 시 운영체제 선택 (GRUB 부트로더 설정)
1️⃣ 우분투에서 터미널 실행 (Ctrl + Alt + T)
2️⃣ 부팅 메뉴(GRUB) 수정
sudo nano /etc/default/grub
3️⃣ GRUB_TIMEOUT=10 (부팅 선택 시간 10초로 변경)
4️⃣ 저장 후 업데이트 적용
sudo update-grub
📌 재부팅하면 윈도우 & 우분투 선택 가능!
🎯 마무리 – 우분투 설치 완료!
✅ 우분투 설치 USB 만들기 → BIOS 설정 → 설치 진행 → 기본 설정 완료
✅ 윈도우와 듀얼 부팅 가능 (설치 시 선택 가능)
✅ 설치 후 업데이트 & 드라이버 설정 필수
🚀 결론:
"우분투는 초보자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서버, 개발, 일반 사용까지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 #우분투설치 #Ubuntu #리눅스설치 #듀얼부팅 #우분투사용법 #Linux #개발환경구축 #리눅스기초 #오픈소스OS #우분투초보자
'📁 [4] 개발자 정보 & 코드 노트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리눅스 필수 명령어 정리 (초보자부터 고급 사용자까지) (0) | 2025.06.04 |
---|---|
🔥 리눅스 서버(Ubuntu Server) 설정 방법 – 초보자 가이드 (0) | 2025.06.03 |
🔥 리눅스(Linux)란? 개념 & 특징 정리 (1) | 2025.06.01 |